Rethinking Locality in Architecture

Princeton University Aerial.jpg

2008년 가을, 미국 동부의 프린스턴 대학교에서는 미국 건축가 Frank Gehry에 의해 새로 완공될 Lewis Library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있었다. 논쟁의 발단은 Princeton Alumni Weekly 라는 동문회지에 실린 한 투고글이었는데, 오랜 역사와 전통으로 형성된 고유의 지역성을 가진 명문사학캠퍼스에 지어지는 정체불명의 못생긴(ugly) 건물에 대한 비판이었다. 여기서의 지역성은 자그마한 대학도시 스케일에서의 범주로, 한국에서 영국 건축가 Zaha Hadid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지어질 때 논란이 되었던 지역성과는 미묘하게 다른 범주에 속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같다. 그것은 어느 지역의 종합적 정체성(collective identity)과 이질적인 디자인 논리와의 대립구조이다.

1980년대의 지리멸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지역성 논의를 다시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성을 옹호하는 진영에게는, 단순히 어떤 특정지역에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반영하여 지었다는 사실만으로 지역성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시각이 강하다. 건축가들이 개념적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지역성과, 물리적이고 구체적인 디자인 결과물과의 감성적 괴리 또한 쉽게 풀리지 않는 이슈이다. 지역성 문제의 핵심은 논리적 프로세스에 있다기보다는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체험에 있으며, 도시문화맥락속에서 시각적, 공간적으로 읽히거나 보여져야만 믿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여기 ‘사례들’에 소개된 건축가/이론가들은 비교적 젊은 건축가그룹으로 지역성에 대해 과감하고 진보적인 입장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업은 하나의 고정된 지역성에 얽매이지않고 프로젝트 각각의 고유한 성격과 환경조건에 따라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들에게 지역성은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 삶의 현장에서 만들어가는 현재진행형의 프로젝트인 것이다.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지역성을 비판하거나 옹호하는 진영 모두 ‘다양성’이라는 논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적용되는 지역의 스케일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이다. 특정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을 보존함으로써 각 지역들 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동시에 특정 지역내에서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배제하는 아이러니를 낳는다. 이는 시간의 축과 맞물려 기성건축가와 신진건축가의 미묘한 입장 차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불경기가 지속되는 건축시장에서 기성건축가들은 대체로 외국 스타건축가들과 그들의 동시대 건축스타일의 무분별한 유입에 비판적이며, 신진건축가들은 생존을 위해 기성건축가들과 전략적으로 스타일의 차별화를 지향하며 글로벌 트렌드와 유사한 작업 성향을 보인다. 이들은 대체로 지역성 담론의 서로 다른 두 축을 형성하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지만, 지역성의 성격과 범위에 따라 정치적으로 미묘한 교집합을 형성하기도 한다.

지역성의 개념은 거대한 시간과 장소의 매트릭스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공간적 담론이다. 지역성의 텍스트는 저자(authorship)가 없고 저자의 개념이 중요하지도 않지만, 일정한 기간 동안 특정 공간을 부유하며 다양한 역사적 조건에 따라 일시적으로 일관성 있는 주장을 담는다. 지역성을 이해하는 과정은 논란의 여지없는 유일한 정의나 해답을 구하는 과정이 아니라 지역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회, 문화, 정치, 지리학적 논리에 대응하고 상황 논리에 맞추어 해석해 나가는 과정인 것이다.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한다』 제3부 사례들 Intro, UP출판